사이트맵 버튼
로고
오픈채팅 전화걸기
왼쪽
yeonopy woman's clinic 네이버&하이닥 상담 여성의 품격을 높이는 곳! 여노피산부인과
오른쪽
질문제목 임산부 갑상선수치 관련 문의 조회 3405
안녕하세요,

임산부 갑상선수치 관련 문의 드립니다.

현재 임신 13주 3일차입니다.
9주차에 산전검사 결과 중 갑상선 수치 tsh 가 3.67 정도로 나왔으나
큰 문제는 안되니 지켜보자는 이야기를 들었고, 병원을 옮기게 되었습니다.
그 이후 타 병원에서 재검 결과 tsh 3.79 / t3 1.09 / free t4 1.24 로 약을 복용하는 것이 좋겠다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갑상선 호르몬과 태아 지능에 연관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이렇게 되는 경우 지난 1개월 간 약을 복용하지 않은 것이 태아에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는지 걱정입니다.
감사합니다.
답변제목  Re : 임산부 갑상선수치 관련 문의
 2015-12-07 상담의사 강미지
안녕하세요, 하이닥 산부인과 산부인과 상담의 강미지 입니다.

갑상선질환은 가임기 여성에서 당뇨병 다음으로 흔히 발생하는 내분비 질환이라고 합니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보통 현저한 임상증상이 나타나 정기적인 검진을 받게 되면
발견이 비교적 쉬운 편입니다.

그러나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경우는 일반 여성에서 뚜렷하게 드러날만큼 임상적인 증상이 없거나
비특이적인 경우가 많으며, 특히나 임신 중에는 임신 중 분비되는 여러 호르몬 변화나
임상 증상등의 변화에 따른 생리적 증상과 겹쳐지면서 갑상선 질환에서 보이는 증상들과
구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임신을 하게 되어서야 비로소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임신 중 자가항체로 인해 문제되는 갑상선 질환의 발병률도 8-12%로 보고된다고 합니다.

산모가 평소 증상은 없는데 혈청 TSH 농도가 참조치의 정상 범위 이상으로 증가해 있으면서
free T4의 농도는 정상 범위 이내에 있는 경우는 무증상 갑상선 기능저하증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산모가 증상이 없기 때문에 태아에게도 크게 영향이 없는지, 아니면 태아에게
합병증을 가져오는지에 대한 의견은 아직 확립되지 않은 상태라고 합니다.

다만 유, 소아기 신경정신행동 발달과의 관계를 연구한 논문에 의하면 임신 중기 초의
TSH 혈청 농도가 증가된 62명의 단태 임신부로부터 태어난 아이들의 신경정신 발달 정도를
7-9세 사이에 15가지의 검사를 통해 전향적으로 조사한 결과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에 비해
약간 지능지수가 낮았다고 합니다.

즉 갑상선 기능저하가 있었지만 치료를 별도로 받지 않았던 임신부에게서 태어난 아이들의
평균 지능지수가 갑상선 기능이 정상이거나 기능저하가 있어서 치료를 받았던 대조군 임신부
124명으로부터 태어난 아이들에 비해 7점이 낮았다고 하는 보고도 있으므로 치료의 방향을 정하는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TSH수치 등은 치료를 하면 도움이 된다고 판단한 수치로 보입니다.
임신 중 특별한 이상은 느끼지 못하더라도 주치의 선생님께서 여러 정황을 감안하여
치료를 계획하신 경우이고 그 전까지는 약물치료가 강하게 권고되는 이상 소견은 없었던 것 같으므로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향후의 검진 및 치료 잘 받으시기 바랍니다.

갑상선 호르몬은 태아 두뇌발달에도 중요해서 심한 요오드 결핍 지역 어린이의 지능지수 저하가
갑상선 호르몬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지금부터라도 치료의 계획을 주치의와 잘 상의하셔서 정하신다면 이전 치료를 하지 않았을 때의
위험부담은 크게 문제되지 않을 수치로 보입니다.

위의 답변은 참고용으로 보다 자세한 상담은 주치의께 문의하심이 좋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목록